RISC-V는 명령어의 길이가 32bit이다
또한 32bit 미만으로 쓸 경우엔 나머지 bit는 부호의 확장으로 채워 준다.
명령어의 각 부분을 필드라 부른다.
RISC-V는 아래처럼 총 6개의 필드로 나뉜다.
이 방식을 R타입이라고한다
그런데 피연산자는 5비트라 최대 31까지만 표현이 가능한데 실제론 32이상의 값을 입력 받는 경우가 많아서 비트 수를 늘려야한다. 그런데 모든 명령어의 최대 길이를 동일 하게, 명령어 형식을 동일하게 라는 규칙도 지켜야되서 만들어진 또 다른 타입도 있다.
ld x9, 64(x22) 같이 피연산자가 하나인 경우엔 I타입이라고 부르는 아래와 같이 쓴다
명령어 sd(store destination)를 쓸 땐 아래와 같이 S타입을 쓴다
여기선 12비트 수치값이 하위 5비트와 상위 7비트 두 개의 필드로 나뉜다
16진수
16을 기수로 하여 나타낸 숫자. 11~16은 a~f로 대신한다. 4비트 문장과 1대1 대응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BackEnd > Computer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6 어셈블리어로 긴 수치와 주소를 쓰는 법 (0) | 2022.03.02 |
---|---|
1.2.5 어셈블리어로 문자와 문자열 사용해보기 (0) | 2022.02.27 |
1.2.4 어셈블리어로 프로시저 구현 (0) | 2022.01.18 |
1.2.2 숫자 구현 (0) | 2022.01.06 |
1.2.1 어셈블리어 문법과 종류 (0) | 2022.01.02 |
댓글